
이제 우리집 댕댕이에게도 신분증과 같은 인식표가 생겨서 혹시나 잃어버렸을 때 빠르게 금방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이 인식표는 자칫 떨어질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어 많은 견주들이 불안해 하는게 현실이다.
이에 댕댕이의 코에 있는 무늬, 즉 ‘비문’으로 이 인식표를 대체하는 도입 방안이 검토된다고 전해졌다.
지난달 27일 농림축산식품부에서 2021년까지 총 6억 9,200만 원을 들여 ‘바이오 인식 활용 동물등록ㄴ방식 개발’ 연구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는 정부 동물보호관리시스템과 연동해서 사용할 수 있는 동물 생체정보 등록 시스템을 개발하는 새로운 프로젝트라고 알려졌다.
생체에 특징을 담고 있는 홍채, 귀 뒤 정맥 등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가장 유력하게 언급되는 것이 앞서 말한 비문이었다.

동물의 비문은 사람의 손에 있는 지문과 비슷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졌다. 개체마다 고유한 모양이 있어 이를 등록하면 ‘동물의 생체 신분증’ 같은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개발중으로 알려졌다.
이에 표준화 작업 및 비문 활용 방식 등을 일원화 하는 등의 비문 중심 연구가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농식품부는 동물 등록 정확도 제고, 가격 등 효율성 담보, 현장 적용 가능성 향상 등의 세 가지에 초점을 맞출 방침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코리안즈] 김영준 기자
kimm263@naver.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